한은 금리 인하, 결국 '원화 런' 부추길 것인가? 우석훈 결국 정부는 이자율을 낮추었다. 내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바보 같은 거시경제의 조치이다. 우리는 한국이다! 이걸 잊은 바보들이, 도대체 어떻게 그렇게 높은 자리까지 갔는지, 한심할 뿐이다. 한국은 국제 기축통화에 대한 발권능력도 없다. 유럽 국가들이 사용하는 유로는 나름 기축통화의 한 몫을 담당한다. 한국의 원화는 이도저도 아니다. 또 한국은 국제경제에서 정치적으로 뭔가 한다고 해서 소위 '이니셔티브'를 잡을 수 있는 강대국도 아니다. 일본의 엔화도 지난 수년간 그리고 특히 지난 몇 개월의 위기 동안 나름대로 기축통화의 역할을 했던 화폐다. 원화, 이것은 '강한 원화'를 통해서만 의미를 가질 수 있고, '강한 원화'에서도 우리가 수출을 하거나 ..
가을의 시대, 무엇을 할 것인가? -글로벌 경제/생태위기, 다시 전환의 기획을 생각한다1 주요섭 바람이 차가워지고 가을이 깊어갑니다. ‘가을의 시대’, 언젠가 어느 글에서 썼던 이야기인데, 한마디로 화려한 ‘성장(盛裝)의 시대’를 지나 꽃도 잎사귀도 떨구고 ‘씨알’ 오롯이 영그는 ‘열매의 시대’가 왔다는 말입니다. (나고 자라고 쇠하고 사라지는, 어김없는 생장소멸의 생명순환 과정입니다.) 경제위기 때문만이 아닙니다. 경제 때문에 잠시 잊었지만, 생태위기는 정말 치명적입니다. '경제공황'은 정말 새발의 피가 될 생태재앙(환경/생물학적 재앙)으로 인한, ‘생명공황’이 정말 걱정입니다. 씨알의 시대 파국적 상황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닙니다. 생태계와 경제체제, 사람들의 생활과 생각의 대전환기라는 말입니다. ..
어떻게 자유로운 삶을 살 것인가? 수원칠보산자유학교 '아이와 강' 강연회/ 2008. 9. 24 이현주 목사님 자유학교' 무슨 뜻일까요? 무슨 뜻인가요? '자유스런 학교'일까요? 자유스런 학교, 자유를 사랑하는 학교... 저는 '자유를 배우는 곳이라고 생각했어요. 누가 자유를 배울까요? 누가 자유를 배울 자격이 있나요? 물론 사람이겠죠? 아마 선생님들이 더 먼저 배워야 할 것입니다. 아무나 다 배운다. 그러나 어떤 사람은 자유를 배울 수 없다. 자격이 없다. 그게 누구일까? 자유로운 사람은 자유를 배울 수 없다. 배울 마음도 없다. 공자님이 오시고 소크라테스가 와도 못 가르칠 사람은 누구일까? 다 아는 사람(知)이다. 세상에 다 아는 사람이 있을까요? 그러면 못 배운다. 꽉 찬 그릇에는 무엇을 넣지 못한..
11월이 다가오면 늘 한 사람이 생각난다. 전태일이다. 그가 자신의 몸을 던져 노동자는 기계가 아니라 사람이라고 절규했던 11월 13일은 늘 한국 노동운동의 현실을 다시 되돌아보게 만드는 성찰의 시간을 던져준다. 더구나 비정규 노동자의 처절한 외침이 늦가을 빛바랜 나뭇잎처럼 여기저기 온 누리에 우수수 떨어지고 있는 오늘날 더 그렇다. 명백히 한국 노동운동의 생일은 11월 13일이다. 메이데이라고 알려진 5월 1일도 아니고 1990년대 초반까지 있었던 3월 10일 근로자의 날도 아니다. 한국 노동운동은 전태일이 자신의 몸을 소신공양으로 바쳤던 1970년 11월 13일 바로 그날 비로소 다시 태어날 수 있었다. 한국전쟁 이후 1970년 이전까지 한국 노동운동은 4·19혁명 시기의 짧은 소생을 제외하면 긴긴 ..
자본론은 마침표가 아니라 '쉼표' - 김수행 박현주/ 미래에셋 - 지금이 투자의 적기 ? 우리나라에 자본론(Das Kapital) 완역과 더불어 칼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의 외연을 넓힌 김수행(전 서울대 교수/현 성공회대 석좌교수). 금융자본계의 삼성(이건희)이라는 말까지 들으면 승승장구했던 미래에셋의 박현주. 최근 경제위기와 관련해 두 사람이 언론을 통해 현시점을 바라보는 발언을 쏟아 내었다. 미국식 깡패자본주의는 이미 사형선고를 받은 것과는 마찬가지이며, 자본주의 맹점을 분석한 자본론의 의미를 재해석해 낼 필요가 있다고 김수행은 말한다. 자본론은 마침표가 아니라 쉼표인 셈. 덧 붙혀 진보세력의 교조주의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박현주는 한 시사주간지를 통해 ' 100년 만에 온 위기가, 기회가 될 ..
사회적 경제와 협동조합.pdf 사회적 경제와 협동조합.ppt 사회적 경제(Social Economy)의 대안적 개념화: 쟁점과 과제 / 장 원 봉 본 논문은 사회적 경제의 대안적 개념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 연구는 먼저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이론적ㆍ실천적 접근들을 역사적으로 검토함으로서 시작된다. 이를 토대로 동 시대에 제기되고 있는 사회적 경제의 개념 접근들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이루어지고, 사회적 경제의 대안적 개념화를 위한 쟁점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 쟁점들을 기초로 해서 실천적 전략으로서 사회적 경제의 대안적 개념화에 이르고 있다. 출처: http://ecokid.kr/data/data_02.php?index_no=65&bbs_no=8&flag=read&page=1
식코의 불편한 진실과 쿠바의 프로파겐다 뉴욕에서 바라본 세상 2007/12/30 19:17 by 고수민 제가 미국 생활을 시작한 이후로 세계 각국에서 온 의사들을 만났지만 가끔 영국에서 온 의사들을 만나면 이상한 감회가 들곤 합니다. 제가 근무하는 대학병원의 교수인 닥터 사이먼은 저명한 정형외과 의사로써 그가 이룬 학문적 업적과 환자에 대한 사랑은 정말 모든 사람에게 존경을 받기에 부족함이 없는 사람입니다. 그의 진료실에 들어가면 벽에 즐비하게 걸려있는 각종 졸업장과 자격증, 상장 등을 보고서야 그가 영국에서 교육받고 의사생활을 시작한 의사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어찌된 사연으로 미국에 왔는지는 직접 이야기 해보지 못했지만 그의 이야기 중간 중간 비치는 영국 의학의 몰락에 대한 소회는 그 역시 영국을..
멜라민피해소비자소송인단 모집 http://cafe.daum.net/melaminesosong (집단소송 할 경우) 1. 원고: 멜라민 첨가 식품을 구입하신 분들 2. 피고: 멜라민 첨가물 수출, 수입 식품회사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3. 필요서류 위임장: 변호사님께 위임해야할 위임장 곧 공지로 올리겠습니다. 4. 피해자료: 멜라민 함유식품 구입 영수증을 확보하시기 바랍니다. 식품 구입영수증, 카드영수증, 식품 봉지 등의 사진을 준비해두시면 될듯 합니다. 5. 청구액수: 미정 6. 소송비용: 미정 10월 4일 현재까지 발표된 멜라민 함유 식품 리스트 ▲ 가든 웨하스(딸기 맛) / (주)다보라유통 ▲ 가든 웨하스(초콜릿 맛) / (주)다보라유통 ▲ 감자고로케 / (주)딤섬 ▲ 계란버터맛빵 / 임홍무역 ▲ 계..
지율스님 “난 지금 이 사회 흐름에 문제제기 하는 것 …천성산, 못 놓는다” 경향신문 | 기사입력 2008.10.23 10:00 산골은거 2년 반…언론과 나홀로 법정투쟁 지율스님이 숨어든 곳은 휴대폰도 터지지 않는 깊은 산속이었다. 5차 단식을 중단한 뒤 주변의 부축을 받으며 이 곳에 온 것이 2006년 봄의 일이다. 그 때 세상 인심은 참 흉흉했다. ↑ 지율 스님이 마을 주민 ‘나무 할배’와 마주 앉아 웃고 있다. ‘나무 할배’는 기력이 남아있을 때 장작을 준비해야 한다며 부지런히 나무를 한다. 영덕 | 박재찬기자 ↑ 경북 영덕 산골의 누옥은 오랜 단식과 여론의 뭇매로 탈진한 지율스님에게 의지처가 되어주었다. 스님은 “이곳은 필요한 사람에게 쓰게 하고 나는 좀더 멀리 떠나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영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