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영·호남 못난이 소리·춤 큰잔치
- 영·호남 못난이 소리·춤 큰 잔치 예비대회
11월 8일 토요일 오전 11시 ~ 오후 6시/ 화개장터
김지하
형 님
희고 고운 실빗살
청포닢에 보실거릴 땐 오시구려
마누라 몰래 한바탕
비받이 양푼갓에 한바탕 벌려놓고
도도리장단 좋아 헛맹세랑 우라질 것
보릿대춤이나 춥시다요
시름 지친 잔주름살 환히 펴고요 형님
있는 놈만 논답디까
사람은 매한가지
도동동당동
우라질 것 놉시다요
지지리도 못생긴 가난뱅이 끼리끼리
□ 행사취지
○ 새 시대 문화개벽운동에서 호남의 ‘판소리’와 영남의 ‘탈춤’은 두 개의 큰 기둥이다. 영·호남의 경계지인 화개장터에서 영남의 최고 못난 소리 꾼과 호남의 최고 못난 탈춤꾼이 출연해서 지지리도 못난 춤과 소리를 겨룬다. 행사장엔 호혜평등 시장을 열어 영·호남 각 고을의 특산물은 물 론 침·뜸 등의 의통과 인술활동, 화백회의 등을 열어 오늘날 신시(神市) 의 전형을 창안한다.
○ 화개(花開)와 화개장터는 예로부터 지리산과 섬진강의 물줄기를 따라 영 남과 호남의 물류와 정보 그리고 문화가 드나든 요충지로 그야말로 신 성한 꽃밭이자 국토의 단전이다. 연꽃 봉오리가 살풋이 벌어진 이곳 화 개동천에서 영·호남의 새로운 문화운동을 시작하는 것이다.
□ 개 요
○ 일 시 : 2008년 11월 8일(토) 11시~하오 6시
○ 장 소 : 경남 하동군 화개장터 옆 고수부지(둔치마당)
○ 주 최 : 화개장터 영·호남못난이대회 추진위원회
○ 주 관 : (사)민족미학연구소, 화개면 이장단협의회
○ 후원·협찬 : 하동군, 쌍계사, 화개면, 화개농협, 쌍계제다,
한국종합렌탈(주), 학원법인 목포중앙고등학교
○ 행사문의 :
(사)민족미학연구소 051)513-5898
목포 극단갯돌 061)243-9876,
쌍계제다(010-8150-2440)
□ 출연 및 참가 단체와 개인
▶ 참가단체
(사)민족미학연구소(051-513-5898)
화개면 이장단협의회(최효승, 010-2600-3294)
화개면 부녀회(염경녀, 010-6760-5828)
(사)부산민족예술인총연합(051-870-0490)
창탈 지기금지(배현열, 017-572-0538)
고성 말뚝이춤(형남수, 윤상순, 오정식)
목포 극단 갯돌(061-243-9786 )
광주 놀이패 신명(062-527-7295)
통영 놀이패 새터(055-636-4471)
놀이패 한두레(02-743-1747)
민족예술단 우금치(042-934-9394)
고승하와 철부지들(고승하, 011-581-8801)
김호언선생의 소리선 '영가무도'(김호언, 017-701-8124)
광주 전통문화예술단 굴림(김태훈, 016-610-8887)
광주 전통문화연구회 얼쑤(김양균, 019-619-3837)
광주 무진농악단(062-523-0474)
광주 내드름(박병주, 018-622-1643)
익산 서동선화풍물패(임달래, 010-6482-4298)
곡성 삼기풍물단(이양우, 017-617-6467)
영광 우도농악보존회(최 용, 011-614-0661)
광양 (사)버꾸놀이보존협회(양향진, 010-8366-9556)
섬진강 판소리문화학교(061-782-4118)
진해 국보예술단(김만연, 011-878-7784)
부산 노동문화예술단 일터(051-635-5370)
부산 극단 자갈치(051-515-7314)
부산 굿패 영산마루(김영구, 016-574-5370)
영산 큰들 풍물패(차재현, 011-9048-8700)
부산 임현미(춤, 019-516-2201)
부산 조영미 춤패(춤, 010-2982-6386)
부산 김계자(가야금병창, 010-2843-4942)
부산 천기호(소리, 010-2572-6077)
진주 강동옥(춤, 010-3075-1109)
부산 김현일(태평소, 010-9328-9294)
부산 홍순연(소리, 016-869-6056)
창원 손양희(소리, 011-9320-3605)
부산 허경미(소리, 010-9210-1595)
부산 양일동(소리, 016-287-2538)
부산 소리바다(이효동, 010-5197-5160)
구례 이원규(시, 016-626-6205)
악양 박남준(시, 011-9608-4389)
부산 이호근(영상, 017-553-4982)
부산 최우창(사진, 010-7374-0724)
부산 이장수(사진, 010-3497-4444)
▶ 특별참여
(사)생명과 평화의 길(02-391-1470)
지리산 쌍계사(055-883-1901)
화개농협(박성기, 011-850-9706)
쌍계제다(김동곤, 010-8150-2440)
지리산 삼성궁(055-884-1279)
화개 녹산다인회(정영섭, 010-3883-9963)
구당 뜸사랑 봉사단(광주 김병태 , 부산 김종만 011-9340-6709)
동주대학교 사진영상과(박희진 011-264-4444, 051-200-3389)
한살림 광주(062-430-3539)
한살림 정읍・전주(063-532-4526)
한살림 부산(051-512-4337)
한살림 경남(055-298-0527)
구례군 농민회(061-783-0201)
섬진강과 지리산 사람들(055-884-8254)
구례군청소년수련관(061-783-0207)
알파 사운드(김성민, 011-9321-7355)
(주)한국종합렌탈(강순재, 010-8310-8000)
□ 행사구성(안)
“못난 놈들은 서로 얼굴만 봐도 흥겹다”
(신경림 시, 파장)
“시름지친 잔주름살 환히 펴고요 형님
우라질 것 놉시다요 도동동 당동”
(김지하 시, 형님/ 오 윤 판화)
▶ 씻김(侍天主)마당
풍물 터벌림 - 청수와 신대모심 - 상차림 - 의례무 - 고천문 낭독 - 집단의례 - 대회사 - 음복
본 마당을 에워싸고 둔치마당 곳곳에 행사의 취지를 알리는 각종 깃발과 영기가 걸리고 강바닥엔 대형 그림깃발이 높이 세워지고 그 둘레에 지리산 삼성궁 한풀 선사의 현장지도 아래 참가자들이 7개의 돌탑을 쌓는다.
각기 터를 잡고 무리들과 한바탕 놀던 영·호남의 풍물패들이 각종 깃발과 만장, 영기를 앞세우고 본마당에 들어오자 대회장들이 모셔들은 청수와 신대를 맞아 또다시 떠들썩한 풍물굿을 벌인다. 청수와 상징기를 단 중앙에 모시고 고을고을 단체별, 개인별로 가져온 특산물로 상 올림을 거듭하여 고사상이 정성스레 차려지면 연합 풍물패의 가락이 문득 멈춘다. 마고춤과 삼성궁의 의례무를 고이 올리고 나면 다시 풍물가락이 울리고 ①풍류, ②신시, ③의통, ④화백, ⑤모심(씻김), ⑥살림, ⑦깨침 등 7개로 나뉜 무리들이 차례로 장두를 앞세우고 관중을 향해 향아설위로 예를 올리고 물러나 7개 돌탑 주위로 깃발을 꽂는다. 또랑광대들이 등장하여 재담을 엮어 행사의 취지를 맛깔 나게 설명하면 대회장들이 차례로 노래와 애송시, 헌다 등 각기 다양한 양식으로 대회사를 고이 바쳐 마침내 시천주 마당을 열어젖힌다.
무리별로 고사상 음식을 나누고 음복을 하면 화개골에 가득한 신령스런 기운이 또 우리 몸 안에 맞아들여 더불어 하나가 된다.
▶ 살림(造化定)마당
화개주민들이 가마솥에 불을 넣어 국밥을 끓이기 시작하고 고을고을의 특산물도 옆 한자리를 차지하여 정겨운 술꾼을 기다린다. 또한 영·호남의 한살림 유기농생산자와 지리산 골골의 귀농꾼들이 올해 거둬들인 농산물을 조그마한 보자기 위에 쌓아 선보이면 서로서로가 교환하고 나누는 호혜평등시장이 이와 다를쏜가.
구당 김남수 옹의 제자들로 구성된 영·호남의 뜸사랑봉사단 회원들이 침과 뜸으로 행사장에 모인 환자들을 돌보니 구릿골 강증산 선생의 의통과 인술마당이 이곳에 새로이 터를 잡았다. 행사장 저편에는 정해진 논제를 두고 20~30명의 이야기꾼(화백)들이 서로의 의견을 내세우고 또 물리면서 오늘의 화백회의를 이끈다.
이제 전국에서 이름 높은 남여 사회자가 자리를 잡고 영남과 호남의 소리꾼, 탈춤꾼, 풍물잽이, 마당극 연희자, 또랑광대, 이야기꾼, 시인, 노래꾼을 차례로 모셔 서툴고 못난 솜씨를 숨기지 않고 한바탕 경연마당을 벌인다. 얼쑤~ 잘한다~ 박수와 앵콜을 받기도 하고 술판에서 험악한 소리도 내지른다. 이런저런 관여와 참여 속에서도 사회자의 능숙한 솜씨로 잔치판은 제갈 길을 찾는다. 무궁한 변화와 위상정립의 판 굿이자 유목과 정착의 창조적 순환이다.
못난 놈은 서로 얼굴만 쳐다봐도 마냥 즐겁다고 했는가. 바야흐로 살림과 생명의 기운이 화개동천에 출렁이며 넘실거린다.
▶ 깨침(萬事知)마당
화백회의의 결론이 내려져 그 결과를 만천하에 공표하게 이르자 잔치마당은 이윽고 종반으로 치닫는다. 풍물패의 가락이 울려 퍼지고 대회장단을 위시하여 집행위원장단이 7개의 깃발을 중심으로 모둠을 나누어 무대 우편으로 등장하면 무대 가운데 모셔진 신대와 대회기를 회수하여 퇴장하면 춤바람, 소리타령이 무대를 가운데 두고 또다시 몰아친다. 남은 술, 안주를 모아 앉거나 서서 또 다시 술판을 벌인다. 잔치판, 술판, 기원의 마당이 각각 따로 노는 듯 다시 큰 한판이다.
천지의 이름 없는 작은 것, 지지리도 못생기고 궁상맞은 우리네 삶에서 천지개벽의 새 희망을 더불어 나눈다. 한판에 모인 못난이들은 이미 어제의 못난이가 아니다. 먼저 나서는 새로운 벗을 아쉽게 배웅하며 남은 이들은 또 내년의 만남을 기약하며 술판의 신명의 다잡는다. 못난이들이 모여 더불어 사는 생명세상의 뜻을 새롭게 새긴다.
□ 후원계좌번호 안내
■ 농협 : 178110-51-007785/ 예금주 : 민족미학연구소
■ 부산은행 : 059-13-001479-2 / 예금주 : 민족미학연구소
□ 함께하시는 분들
○ 대회장
김동곤(쌍계제다 대표), 상훈 스님(쌍계사 주지),
김호남(학교법인 목포중앙고등학교 이사장),
조성삼(사단법인 생명과 평화의 길)
백신종(경상남도 의회 부의장)
○ 고 문
김지하, 백기완, 심우성, 김남수, 송기인, 정상박, 김열규, 정호경,
허병섭, 김수업, 최태옥, 오정환, 박 염, 천규석
○ 자 문
김상윤, 윤만식, 박소정, 지선 스님, 황선진, 김용택, 박맹수, 한 풀, 고영조, 김선출, 이애주, 손정순, 임정희, 조경만, 김홍종, 이갑재, 한광석, 이현기, 구자상, 정종채, 박인배
○ 집행위원회
- 위원장단:
김성종, 이청산, 임승용, 최정완, 김익두, 권오국, 정희섭, 김선태, 이규열, , 염경녀, 황인기, 최효승
- 집행위원 :
○ 예술감독: 채희완(민족미학연구소 소장)
○ 기 획 단
- 단 장: 강희철
- 위 원:
이방수, 천기호, 이상헌, 이벅수, 정성욱, 황인기, 이승홍, 오세란, 류기형, 유용문, 이원규, 노영필, 정삼조, 박요섭, 정 호, 정정섭, 나양채, 김평삼, 진병태, 김종만, 유상균
○ 연 출 단
- 단 장(현장 총감독): 손재오
- 풍물 총감독 : 김태훈
- 무대감독 : 심창신
- 위 원:
박강의, 김태훈, 정승천, 이중수, 강동옥, 정공철, 박희진, 김기영, 배현열, 김영구, 박종환, 한대수, 황종욱, 김소현, 차재현
- 사 회 자 : 홍순연 / 김헌근 / 문관수 등
(집행위원)
김열규(민속학자), 김윤수(국립현대미술관 관장), 김종곤(영산줄다리기 기능보유자), 박재일(한살림대표), 백낙청(문학평론가), 송기숙(작가), 송기인(신부), 송정제(언론인), 신경림(시인), 신영복(전 성공회대 교수), 양혜숙(연극학자), 원 경(스님), 윤구병(철학자), 이두현(서울대 명예교수), 장회익(전 학 총장), 정호경(신부), 조재훈(공주대 명예교수), 최민식(사진작가), 허평길(전 부산대 교수), 황석영(작가), 계성(법왕사주지), 현 암(적석사 주지), 강미리(부산대 교수), 강수길(미술사학자), 강요배(화가), 강은교(시인), 강철구(이화여대 교수), 강혜숙(청주대 교수), 곽은득(목사), 김대식(작가), 김명곤(연극인 ), 김민기(작곡가), 김봉준(화가), 김석만(한국예종 연극원 교수), 김양동(계명대 교수), 김영동(작곡가), 김영호(포항 대잠성당 신부), 김익두(전북대 교수), 김정기(제주교육대 총장), 김정헌(공주대 교수), 김종철(녹색평론 편집장), 김창우(경북대 교수), 김창호(동의대 교수), 김채현(한국예종 무용원 교수), 김희욱(미술사학자), 남정호(한국예종 무용원 교수), 노원희(동의대 교수), 도 법(스님), 도종환(시인), 문규현(신부), 문무병(민속학자), 박거용(상명대 교수), 박동혁(동의대 교수), 박범훈(중앙대 교수), 박원순(사회운동), 박인배(연출가), 박재봉(헨디 디자인센터), 박준건(부산대 교수), 박현경(여성운동), 박현수(영남대 교수), 서연호(고려대 명예교수), 석종관(양주별산대놀이 조교), 수경(스님), 신근호(한티벳문화원장), 심광현(한국예종영상원 교수), 심정수(조각가), 안부근(언론인), 안상수(홍익대 교수), 안종관(소설가), 오상훈(부산대 교수), 강영환(시인, 전 부산민예총지부장), 유재원(한국외대 교수), 윤광석(백산기념사업회), 윤기현(작가), 윤만식(마당극 운동가), 윤순영(분도기획 대표), 윤영천(인하대 교수), 윤용섭(경상북도 문화관광국장), 이광재(강원도 국회의원), 이광호(부산민주공원 관장), 이기원(연출가), 이동순(영남대 교수),이민환(민족미학연구소이사,부산대 교수), 이병철(귀농운동본부장), 이상우(연출가, 연극원 교수), 이석금(탈제작자), 이선우(동의대 교수), 이시영(시인), 이애주(서울대 교수), 이정인(지방분권운동 공동대표), 이종구(작곡가), 이진오(부산대 교수), 이훈상(동아대 교수), 임명구(출판인), 임옥상(화가), 임재해(안동대 교수), 임진택(연출가), 장선우(영화감독), 정병훈(경상대 교수), 정성헌(강원 남북한 평화통일추진위 의장), 정지영(영화감독), 정지창(영남대 교수), 정홍규(신부), 조경만(목포대 교수), 조동일(계명대 석좌교수),조성래(민족미학연구소 이사장), 조흥윤(한양대 교수), 종 림(고려대장경연구소장), 종 수(스님), 진 광(스님), 채상식(부산대 교수), 최 민(한국예종영상원 교수), 최상일(MBC PD), 최열(환경운동), 최원식(인하대 교수), 최은희(경성대 교수, 춤꾼), 최재우(민극협 부이사장), 최종덕(상지대 교수), 최태현(중앙대 교수), 최현복(홍사단 대구지부 사무처장), 한성민(사업), 한양명(안동대 교수), 허 운(스님), 현기영(전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원장), 현 응(스님), 호인수(신부), 홍세화(언론인), 홍신자(무용가), 황루시(관동대 교수),황선진(환경운동), 황한식(부산대 교수, 교수), 강은아(민족미학연구소 연구위원, 영상콘텐츠컨설팅 KGNET 대표), 조정현(안동대 민속학과 강사), 최찬열(민족미학연구소 기획위원, 춤연대 사무처장), 문봉순(민족미학연구소 연구위원, 경상대 국문학과 박사과정), 김경미(민족미학연구소 연구위원, 춤꾼), 이광국(민족미학연구소 연구위원, 독립영화감독), 곽영화(민족미학연구소 연구위원, 화가), 이장수(사진작가), 이호근(영상작가), 김남수(한국민예총 민족굿 분과위원장), 박희정(풍물패 살판 대표), 김추자(민족미학연구소 기획실장), 허경미(춤꾼), 김수현(부산대학교 예술문화영상학협동과정 석사과정), 김정희(민족미학연구소 연구위원), 이희진(한국문화정책연구소 이사), 남기성(극단 한두레 상임연출), 박희정(풍물패 살판 연출), 오세란(안무가), 유순웅(청주 민예총 사무처장, 배우), 이상우(극단 자갈치 대표), 하연화(춤패 배김새 대표), 김인천고윤혁, 나연주, 윤보혁(구례군청소년수련관 관장), 배종범, 박병주(광주 내드름 대표), 김경일(시인), 김소현(소리꾼), 최 용(영광농악상쇠), 박희진(동주대학 사진영상과 교수, 사진작가), 김성민(알파 사운드), 강순재(주 한국종합렌탈)
□ 지역별 연락책임자
화개 : 화개면 청년회장 하동 :
진주 : 강동옥 통영 : 이벅수
고성 : 황종욱 마산 : 이중수
부산 : 심창신 남해 :
거창 : 한대수 함양 : 유상균
대구 : 김헌근 서울 : 남기성
원주 : 정대호 영산 : 차재현
김해 : 강희철
광주 : 박강의 목포 : 이방수
전주 : 곽병찬 곡성 :
벌교 : 한광석 순천 :
광양 : 양향진(광양버꾸놀이보존협회 이사장, 명신대학교 전통공연예술학과)
진도 :
남원 : 김태훈 대전 : 류기형
제주 : 윤미란 청주 : 김창곤
부안 : 고영조 구례 : 김정숙